국가계약법 vs 지방계약법, 뭐가 다른가요?
공공조달 입찰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마주치는 두 가지 법, 바로 "국가계약법"과 "지방계약법"입니다. 이 둘은 입찰 조건, 낙찰자 결정 방식, 예가 산정, 물가변동 반영 등에서 매우 중요한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.
하지만 현장에서는 이 두 법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제 입찰에 참여하는 실무자의 입장에서 두 법의 주요 차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적용 대상부터 다르다
구분 | 국가계약법 | 지방계약법 |
---|---|---|
적용기관 | 중앙행정기관, 국가소속기관 등 | 지방자치단체, 교육청 등 |
법령명 |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|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|
→ 입찰 공고에서 발주기관이 어디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 계약법이 달라지면 낙찰자 선정 방식도 바뀝니다.
2. 낙찰자 결정 방식이 다르다
국가 계약법과 지방계약법 모두 공사의 추정가격 구간에 따라 낙찰 하한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이 부분은 다음 글인 예정가격 산정방식과 낙찰하한율 기준에서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3. 물가변동 반영 조건도 차이
내용 | 국가계약법 | 지방계약법 |
---|---|---|
반영 시점 | 계약일 기준 | 착공일 기준 등 조례에 따라 다양 |
기준 규정 | 계약예규 기준 | 지방 조례 또는 고시 기준 |
→ 실제 정산이나 하도급 조정 시에는 이런 차이로 비용 손익이 크게 갈릴 수 있습니다.
4.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
- 입찰 전 공고문에서 계약법 적용 기준을 반드시 체크하세요.
- 동일한 공사라도 적용 법령에 따라 낙찰률, 심사기준, 실적요건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계약서, 적격심사 서식, 물가변동 대응 전략도 법령에 따라 다르게 준비해야 합니다.
✔ 나라장터 공부방에서는 이후 각 법령에 따른 실제 사례, 낙찰 결과, 심사표 분석 등도 이어서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.
→ 다음 글 예고: “낙찰률 87.745%? 예정가격 산정방식 쉽게 풀어보기”
'계약법&제도이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방계약법 시행령 해설 – 낙찰자 결정방식과 심사 기준 정리 (0) | 2025.04.24 |
---|---|
지방계약법 총칙 해설 – 지자체 계약의 구조와 법적 적용 범위 (0) | 2025.04.23 |
국가계약법 시행규칙 해설 – 계약서류, 낙찰 통보, 계약체결 절차까지 (0) | 2025.04.22 |
국가계약법 시행령 해설 – 낙찰자 선정 방식과 예정가격 산정 구조 정리 (0) | 2025.04.22 |
국가계약법 총칙 및 법률 체계 이해 (0) | 2025.04.21 |